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울산 버스 817

덤프버전 :

||




1. 노선 정보
2. 개요
3. 역사
4. 특징
4.1. 시간표
4.2. 노선
5. 연계 철도역
6. 둘러보기



1. 노선 정보[편집]


파일:울산광역시 휘장_White.svg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817번
기점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순지리(통도사신평터미널)종점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(태화강역)
종점행첫차05:30기점행첫차07:00
막차20:50막차22:30
배차간격1일 8회
운수사명남성여객인가대수2대
노선통도사신평버스터미널 - 암리 - 삼동면민운동장 - 왕방 - 삼동초등학교 - 출강 - 하작 - 당고개 - 한솔그린빌 - 대복입구 - 쌍용하나빌리지 - 울주군청 - 울산대학교 - 신복교차로입구(신복로터리) - 남운프라자 - 삼호교 - 학성여중 - 태화강국가정원동강병원 - 태화루 - 성남동 - 학성배수장 - 학성공원 - 반구1동행정복지센터 - 보람병원입구 - 농수산물도매시장 - 태화강역


2. 개요[편집]


울산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. 전체 정류장 목록


3. 역사[편집]


  • 대우여객이 농어촌버스였던 시절 무거동을 경유하여 통도사터미널까지 운행하던 노선이 전신이다.[1]

  • 1995년에 대우여객이 도농통합으로 인해서 시내버스 업체로 전환되었고 345번으로 부여받았다.

  • 1990년도 후반까지만 해도 1일 2회 웅촌을 경유해 통도사로 가는 지원운행을 하였다.

  • 2003년 8월에 번호가 817번으로 변경되었다.

  • 대우여객 언양영업소에서 운행했으나 2011년 11월 1일에 울산/남성여객에서 언양영업소를 인수했고 남성여객에서 운행하게 되었다.


4. 특징[편집]


  • 기종점이 1723번과 같지만 노선은 전혀 다르다. 1723번은 울밀로를 경유하여 언양을 거치지만 817번은 무거동, 한솔그린빌, 삼동면행정복지센터를 거쳐 신평으로 향한다.

  • 한솔그린빌을 경유하기 때문에 이쪽 주민들이 이용하기도 한다.

  • 현재 대복 방면 노선 중 삼호교를 경유하는 둘뿐인 노선이다.[2]


  • 화합로 학성교를 건너는 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태화동을 간다.

  • 대우여객 언양영업소 출신 노선 중에서 남성여객 울산본사가 운행하는 둘뿐인 노선이다.[3][4]


4.1. 시간표[편집]


파일:울산광역시 휘장_White.svg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817번 시간표
2022년 8월 16일 기준
횟수통도사태화강역
105:3007:30
206:5009:00
309:2011:00
411:0013:00
513:0015:00
615:0017:30
718:0021:00
820:0022:30

4.2. 노선[편집]


파일:울산광역시 휘장_White.svg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817번
[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· 접기 ]

신평로
▲ 통도사
통도사로월평로
양산대로
현대자동차출고장앞 ▼
삼동로
쌍용하나빌리지 ▼▲ 대복입구
웅촌로
우신고등학교입구 ▼▲ 문수실버복지관
대학로
남운프라자 ▼▲ 신복로터리
북부순환도로
삼호교 ▼▲ 좋은삼정병원앞
태화로
태화루사거리 ▼▲ 태화루
강북로
옥성초등학교앞 ▼▲ 학성배수장
가구거리
반구1동주민센터앞 ▼▲ 학성공원
화합로
농수산물도매시장앞 ▼▲ 보람병원입구
삼산로
태화강역(종점) ▼
산업로



5. 연계 철도역[편집]




6. 둘러보기[편집]


파일:울산광역시 휘장.svg 울산 ~ 파일:양산시 CI.svg 양산 간 시내버스
[ 펼치기 · 접기 ]

리무진 (양산)
30003100
직행좌석 (울산)
1723
일반 (울산)
313328714817
일반 (양산)
13
마을 (울산)
6061
울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양산시의 정류소만 경유하는 노선만 서술
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11 06:29:07에 나무위키 울산 버스 817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시외버스터미널-KBS-구 모드니백화점(현 세이브존)-태화로타리-동강병원-무거동-웅촌-사촌-통도사[2] 다른 노선은 1147번. 예전에는 704번도 있었으나 지금은 폐선되었다.[3] 다른 하나는 304번. 다만 304번은 2대는 울산본사에서 운행하고, 1대는 언양영업소에서 운행한다.[4] 오랫동안 언양영업소에서 운행했으나, 2020년 11월 즈음 울산본사 운행으로 바뀌었다.